리눅스 /run/user/ 디렉터리: 언제 마운트되고 로그인 없이도 유지될까?
/run/user/<UID> 디렉터리 언제 생기나? Lingering으로 세션 유지하는 법 📌 목차 보기 /run/user/<UID>의 정체 언제 마운트될까? su/sudo 전환의 차이 Lingering으로 유지하기 마무리 정리 /run/user/<UID>의 정체 /run/user/<UID> 디렉터리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로그인한 사용자를 위한 런타임 임시 파일들을 저장하는 전용 디렉터리 입니다. UID는 User ID를 의미하며, 일반적으로 1000 이상부터 시작되는 숫자입니다. 예를 들어, 여러분이 첫 번째 일반 사용자라면 보통 UID가 1000입니다. 그렇다면 /run/user/1000 이라는 디렉터리가 생성될 수 있겠죠. 이 디렉터리에는 GNOME, KDE와 같은 데스크톱 환경이 사용하는 소켓 파일이나, 사용자 단위 systemd 서비스가 사용하는 임시 파일, 파이프 등 다양한 파일들이 저장됩니다. 중요한 점은 이 디렉터리가 휘발성 이라는 것입니다. 즉, 시스템을 재시작하거나 사용자가 로그아웃하면 이 디렉터리는 자동으로 사라진다 는 의미입니다. 해당 디렉터리는 보통 tmpfs 파일 시스템으로 마운트됩니다. 이는 실제 디스크가 아닌 메모리(RAM)에 파일이 저장된다는 뜻이며, 덕분에 속도가 빠르고 자동 삭제가 가능합니다. 언제 마운트될까? 이 디렉터리는 정확히 언제 생길까요? 정답은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할 때입니다. 로그인은 여러 경로를 통해 이뤄질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GDM, SDDM 등 GUI 로그인 매니저를 사용할 때 터미널에서 TTY를 통해 로그인할 때 SSH로 원격 접속할 때 이러한 로그인 과정에서는 PAM(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)이라는 인증 모듈 체계가 동작하게 되며, 이 중 pam_systemd 라는 모듈이 systemd에게 해당 사용자의 세...